헥스에디터 다운로드 사용법 설치 - HxD Hex Editor
페이지 정보
작성자 Trisha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5 23:02본문
대다수의 HxD Hex Editor 다운로드 툴들은 양덕들이 만들어서 그런지, 영어로 프로그램이 작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한국에서 유명한 프로그램 중 하나인 PPRE의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업데이트한게 2016년일 정도로 굉장히 오래된 프로그램이기도 합니다. 그렇다 보니 인터페이스가 불편하기도 해서 사용하는 데 불편한 점도 종종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PPRE 보다는 Pokeditor와 DSPRE, 그리고 마지막 한글화를 위해 SDSME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4세대 기반의 개조 롬을 작성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볼 때 페어리 타입의 유무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얘기하기 위해서는 우선 DPPt와 하골소실(하트골드, 소울실버)가 같은 4세대이긴 하지만,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을 먼저 기억해주시고, 0번을 읽은 후에 EX 1문단으로 넘어가서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0. 개조할 기반 롬4세대 롬은 총 3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DP 디아루가/펄기아(외국에선 다이아몬드/펄 버전), Pt 기라티나(외국에선 플래티넘 버전), 하트골드/소울실버.기본적으로 DP의 경우에는 개조를 거의 다루지 않습니다. 당장 리메이크판인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 샤이닝 펄이 있다 보니 사람들이 그닥 거들떠 보지 않는 것도 있고, 확장판인 Pt가 동일한 지방을 다루면서, 스토리적인 측면도 더 고평가받고, Pt에만 있는 기능들(추가된 폼 체인지, HxD Hex Editor 다운로드 포켓치의 편의성 증가, 승부장소, 전당등록 여부에 따라 레벨이 늘어나는 리그/라이벌)이 꽤 많은 것도 큽니다. 따라서 저도 이 블로그에서 DP와 관련된 내용은 거의 안 다룰 것입니다.Pt 기라티나는 DP를 바탕으로 생성한 확장판입니다. 제가 이 블로그에서 다룰 것은 주로 이 롬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이후에 나온 하골소실에 비교하면 아쉬운 측면도 많습니다만(제한적인 따라다니기, 지방 한 개, 트레이너 포켓몬의 특성 임의 변경 불가) 개조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께는 이 롬을 바탕으로 시작하시는 걸 추천합니다.하골소실은 Pt 기라티나를 만들던 때에 비해 기술적인 발전이 커졌는지, 훨씬 더 다양한 방면으로 개조할 수 있으며, 일부 능력자는 아예 전국도감의 데이터량을 확장해서 기존의 493마리에 +@로 포켓몬을 넣고, 거기에 메가진화까지 구현하기도 하더군요. 다만, 프로그램 데이터의 수록 방식이 바뀐 것도 있다 보니 처음 입문할 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종합적인 개조의 자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하골소실 쪽이 훨씬 더 높은 것은 사실이라, 어느 정도 개조하는 데 익숙해지셨고, 게임의 맵 변경/스토리 대거 변경 등 게임을 아예 뜯어고쳐서 새로운 게임 수준으로 개조하실 분이라면 이 쪽을 추천합니다.1. 개조판 롬의 작성개조판 HxD Hex Editor 다운로드 롬을 만드는 데에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한글판 롬을 바탕으로 직접 개조.영어판 롬을 바탕으로 개조, 개조된 사항을 한국판 롬에 덮어씌우기.양쪽 방법 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느 쪽이든 기본적으로는 영어단어 투성이일 것이니, 아예 용어를 외우시거나, 구글에서 검색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 블로그에도 시간이 날 때마다 올릴 것입니다.A. 한글판 롬을 바탕으로 직접 개조한글판 롬을 바탕으로 직접 개조장점단점· 과정은 빠르고 편리.말했다시피 한글판 롬을 직접 뜯어고치는 거라 굳이 영어판 롬을 구할 필요도 없고, 정보를 옮길 카테고리를 찾을 필요도 없이 즉각즉각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한정됨.개조 프로그램들의 대다수는 서양쪽 팬들이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주로 미국판 롬을 중심으로 발달이 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들 중 상당수는 미국판 롬 외에 타 언어판을 아예 지원하지 않는 것도 대다수입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오직 SDSME 하나 뿐이라고 보셔도 좋습니다.· 개조 가능 사항이 한정됨.사용할 수 있는 개조 프로그램의 수가 한정된다면, 개조할 수 있는 내용들도 자연스레 줄어듭니다. 우선적으로 SDSME는 DSPRE의 사실상 하위호환, 구식 버전 같은 것이라서 다른 툴들과 충돌할 HxD Hex Editor 다운로드 가능성도 존재하며, Pokeditor에서만 가능한 종족값 수정, 기술 위력 변경, 진화 방법 변경 등은 포기해야 합니다.이건 솔직히 설명할 게 딱히 없습니다. 까놓고 말해서, 툴들 자체가 죄다 영어 투성이라 어차피 영어를 알아야 해요. 이 블로그의 DSPRE 쪽 글들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DSPRE에서만 가능한 것은 제가 제목 옆에다가 (DSPRE)라고 적도록 하겠습니다.B. 영어판 롬을 바탕으로 개조, 개조된 사항을 한국판 롬에 덮어씌우기2. 영어판 롬을 바탕으로 개조, 개조된 사항을 한국판 롬에 덮어씌우기.장점단점· 개조 가능 사항이 무궁무진.당연하지만 위의 단점과 같습니다. 개조 툴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개조 방법도 늘어나고, 개조할 수 있는 방법도 늘어납니다.· 변경 불가능한 일부 정보Nitroexplorer를 사용하면 일부 정보들은 한국어판 롬에도 덮어씌울 수 있습니다만, 타입 상성 등의 정보는 옮겨담을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텍스트 같은 경우에는 SDSME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남아 있습니다.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0. 미국판 롬 및 한글판 롬 확보. 양쪽 다 순정 롬이어야 하니 주의.1. Pokeditor v2를 통해서 포켓몬의 기본 정보 수정, 기술의 정보 수정, 레벨업 기술, 기술머신 학습 여부 등을 수정.2. Pokeditor v2로 개조한 롬이 DSPRE와 호환되도록 HxD Hex Editor 다운로드 변경.3. DSPRE로 트레이너 포켓몬 기술배치 변경(기본), 맵 개조, 스크립트 개조(응용).4. Nitroexplorer로 영어판 롬의 변경 사항 한글판에 옮겨담기.5. SDSME의 텍스트 에디터로 한글판 텍스트 고치기.EX1. 페어리 타입의 추가페어리 타입을 추가하지 않으실 분들은 이 문단을 넘기시면 됩니다.페어리 타입은 6세대 때 새로 추가된 타입입니다. 6세대 때 강철 타입이 어느 정도 너프를 받고,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는 등 상성표에 변화가 많이 생겼습니다. 이 페어리 타입을 추가하고 싶으신 분들도 많을 것 같아서 별도로 문단을 작성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타입을 아예 추가하는 것은 기존의 타입의 상성표를 바꾸는 것보다 훨씬 까다로운 작업을 요구합니다. 다행스럽게도 4세대에서는 기술 저주가 가진 타입, ??? 타입이 있기 때문에, 이 타입을 바탕으로 상성표를 갈아엎으면 페어리 타입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Pokeditor, DSPRE에도 이 ??? 타입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한해서는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불행히도, 페어리 타입은 제가 말하는 에디터들로는 개조가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롬의 종류에 따라서 페어리 타입을 적용시키는 방식이 달라집니다.우선, 공통적으로 헥스 에디터 프로그램과 Crystaltile2가 필요합니다. 이 프로그램이 롬의 헥스코드(16진수 기반)를 뜯어고쳐서 상성을 바꿔 줄 HxD Hex Editor 다운로드 겁니다. 비유를 해보자면, 원본 롬을 원석, 이 블로그에서 설명하는 개조 툴들이 곡괭이, 헥스 에디터가 세공용 칼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세공업자들이 곡괭이를 들고 보석을 가공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광부들도 이론상 이 칼로도 원석을 캐내는 게 가능하지만 그럴 바에는 그냥 곡괭이를 들고 캐내는 게 훨씬 빠르겠죠. 마찬가지로 헥스에디터를 이용해서 저 개조 툴들의 작업을 해내는 것도 가능은 합니다만 훨씬 번거롭고 복잡하기 때문에 안 쓰이는 겁니다. 하지만 타입의 상성 변화 등은 기존의 툴로는 못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헥스 에디터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헥스 에디터 자체는 그냥 구글에 Hxd나 Hex editor라고 검색해 보세요.A. Pt 기라티나(난이도 높음/미완성, 방법 찾는 중)하골소실에 비해 애먹었던 롬입니다. 아까 말했다시피 페어리 타입은 헥스코드를 뜯어서 고쳐야 합니다만, 문제는 이게 롬의 언어판별로 헥스코드가 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판/일본판/유럽판/한국판에서 타입 상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헥스는 다 제각각 다릅니다. 불행히도, 타입 상성에 관한 헥스 중 밝혀진 것은 미국판 하나 뿐입니다. 따라서 페어리 타입을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먼저 미국판 롬을 다운로드 받으시고, 페어리 타입을 추가할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저희가 HxD Hex Editor 다운로드 거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0. 미국판 롬 및 한글판 롬 확보. 양쪽 다 순정 롬이어야 하니 주의.1. 헥스 에디터로 미국판 롬의 타입 상성 수정. (별도 글 작성)2. Pokeditor v2를 통해서 포켓몬의 기본 정보 수정, 기술의 정보 수정, 레벨업 기술, 기술머신 학습 여부 등을 수정. 이때 페어리 타입 기술들은 타입을 ???로 설정.3. Pokeditor v2로 개조한 롬이 DSPRE와 호환되도록 변경.4. DSPRE로 트레이너 포켓몬 기술배치 변경(기본), 맵 개조, 스크립트 개조(응용).4. Nitroexplorer로 영어판 롬의 변경 사항 한글판에 옮겨담기.5. SDSME의 텍스트 에디터로 영어판 텍스트를 전부 한글로 번역.여기에서 힘든 건 바로 1과 5겠네요. 1이야 적당히 좋은 프로그램을 구하고, 많이 하다 보면 익숙해지시겠지만, 진짜 문제는 5입니다. 5는 그냥 순수하게 다 글로 때려박야아 합니다. ※한글화 1단계 해놓은게 몇년전이라 정확히 기억이 안나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 한글화를 위한 준비물1. 레니게이드 플이 글을 보면 대충 감이 잡힐 겁니다. 사실 저도 다른 방법을 찾고는 있습니다. Nitroexplorer 관련 글을 보시면 narc 파일들을 옮겨붙일 수 있다고 제가 말했었죠? 게임 내에 텍스트 파일도 사실은 HxD Hex Editor 다운로드 /msgdata/pl_msg.narc에 따로 저장이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게 영어판과 한국어판의 텍스트 파일의 수가 다르더라고요. 초반 텍스트 문서들은 번호가 맞아떨어지는데, 후반부 일부는 안 맞아떨어지더군요. 말했다시피 이건 영어판 롬을 바탕으로 뜯어고치는 거라는 게 문제라는 거고요. 아예 작정하고 위에 적은 글처럼 일부 사항들만 제외하고 다 옮겨버린 다음에 텍스트에 문제가 안 생기는 지 테스트해볼까 고민이 들긴 하는데, 나중에 시간이 나면 꼭 해봐야 겠다고 마음은 먹고 있습니다. B. 하트골드/소울실버(난이도 중간?)제목은 거창합니다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아직 미완성입니다. 6세대에서 추가된 페어리 타입을 하트골드/소울실버 한글판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보려고 했습니다만, 데이터 구현까지는 성공했지만 인터페이스 구현을 하지 못했네요. 저주의 ???타입을 이용해서 페어리타입의 상성을 추가했지만 앞선 포스트에서 기술의 타입이나 포켓몬의 타입을 ???타입으로 바꿔도 도감에서는 노말타입으로 출력되고, 배틀과 상태창에서는 ???타입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도감과 상태창에서의 타입 아이콘 코드를 찾아서 '페어리'라는 폰트코드와 분홍색 색상코드를 입혀야 하...미리보기에 미완성이라고 적혀있지만 다음 글에 바로 인터페이스까지 만드셨습니다. 어쨌든 하트골드 소울실버 쪽은 한국 쪽에서도 타입 상성 관련 헤더가 발견되어서 그런지, 이렇게 순식간에 해내셨더라고요. 이쪽은 제가 해본 적이 없어서 말은 못하겠지만 HxD Hex Editor 다운로드 아마 가능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