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Tree] Git GUI 소스트리 (SourceTree) 설치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Ivy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5 21:45본문
git을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사용하면서 함께 사용하기 시작한 툴이 바로 소스트리(Sourcetree)이다. 처음 git을 사용하면 명령어 기반으로 다루는게 힘들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GUI로 git을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소스트리 이외에도 다양한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툴이 존재하는데, 나는 여전히 소스트리가 가장 익숙하고 업무를 하면서 점차 terminal 기반으로 넘어가서 결국 VSCode로 넘어갈 것 같다.소스트리 설치하기Sourcetree 공식 홈페이지소스트리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바로 위와 같은 화면이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나온다. 파란 버튼의 windows용 설치파일을 다운받자!Registration여기서는 굳이 사용할 옵션이 없으므로 그냥 건너뛰기를 한다. 일반적으로는 거의 필요 없으니 건너뛰기로 넘어가면 되겠다.Pick tools to download and install이미 git을 설치했기 때문에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추가적으로 설치해줄 툴은 없다. 다음을 클릭하자.SSH 키 불러오기키를 이미 만들어줬지만 우선 그냥 넘어가도록 하자. 여기까지 도달하면 이미 실치가 끝날 것이다.소스트리 SSH key 설정하기이미 아래의 포스팅처럼 SSH key를 생성하고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등록했다면 굳이 소스트리에서 다시 만들 필요 없이 불러오면 된다.git을 사용할 때 필요한 SSH key 생성하고 github 계정에 공개키를 등록하는 것까지 포스팅하도록 하겠...소스트리 초기 화면상단의 도구 항목으로 들어가서 옵션을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클릭한다.이미 생성한 SSH key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SSH 클라이언트 설정에서 SSH 키 항목에 C:\Users\[user name]\.ssh 경로에 이미 생성해둔 SSH key를 넣어준다. SSH 클라이언트는 OpenSSH로 해주자.소스트리 다크 모드 설정하기도구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항목의 옵션 클릭상단 도구 항목에서 옵션으로 들어가면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Dark로 하면 소스트리를 다크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소스트리 다크 모드여기까지 해서 소스트리 설치, SSH key 등록, 다크모드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설정까지 했다. 이제 기본적인 툴은 다 설치한 것 같고 그동안 못했던 공부들을 하면서 일부 자잘한 설정들만 해주면 될 것 같다. 추후 visual studio 2019 및 VSCode에 대한 설정들은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몰아서 한번에 포스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