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신도시부동산
2일 오전 미얀마 만달레이의 지진으로 무너진 아파트에서 시신 수습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가족 시신이 발견돼 오열하는 미얀마 여성을 구조대원이 끌어안고 위로하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여기! 10대 추정 사자(死者) 두 명!”2일 오전 9시 10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중심부에 위치한 12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빌라’ 붕괴 현장. 이날 수색 시작 10분 만에 무너진 건물 잔해 위에서 굴착기로 콘크리트 더미를 헤집던 중국 청전구조대 소속 대원이 아래를 향해 소리쳤다.한 미얀마인이 이를 통역하자 구조 활동을 지켜보던 사람들의 눈이 동그래졌다. 순간, 한 여성이 벌떡 일어서며 외쳤다. “내... 내 아이들 같아요!” 이 건물에 인근 대학에 재학 중이던 딸 수나디(20)와 아들 아마디(15)가 함께 살았는데,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다른 중국 구조대원들과 미얀마인 자원봉사자들이 곧바로 잔해 사이를 확인할 내시경 카메라와 철근을 자를 화염방사기, 소독제 등을 짊어지고 잔해 위로 뛰어올라갔다.무더위 속에서 시신을 끄집어낼 공간을 확보하느라 사투를 벌인 지 1시간 50분이 지난 시각. 한 작업자가 다급하게 시신 수습 가방과 방수포를 준비했다. 오전 11시, 한 명이 먼저 건물 밖으로 빠져나왔다.여성의 아들 아마디가 맞았다. 내내 눈물을 참고 있던 엄마와 할머니는 아이의 얼굴을 확인하고는 비명에 가까운 울음을 토해냈다. 그는 기자에게 휴대폰 속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들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웠는지를 한참 설명한 뒤 이렇게 말했다. “미얀마뿐 아니라 다시는 어느 곳에도 이런 비극이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세상 사람들이 우리의 이야기를 알 수 있도록 꼭 자세히 전해주세요.” 한 미얀마 여성이 2일 만달레이 지진 구조 현장에서 시신으로 발견된 아들 아마디(왼쪽)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아직 가족의 생사도 확인하지 못한 남은 이들은 누군가는 망연자실한 얼굴로, 누군가는 부러운 얼굴로 이들을 바라보며 눈물만 흘렸다.’기적’ 바라기 어려운 상황이날 구조 작업이 진행된 스카이빌라는 지상 12층, 지하 2층 규모 아파트다. 400여 명 넘게 거주 중이었으나 지난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초등학교 인근 도로에서 발생한 싱크홀(땅 꺼짐) 사고 현장 모습. 뉴시스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땅꺼짐) 사고 10건 중 4건은 상·하수관 노후화 문제가 아닌 ‘부실공사’로 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싱크홀이 발생할 때마다 상·하수관 노후화 문제를 부각해왔지만,지하공사만 제대로 관리했어도일부 사고는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세계일보가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의원실에 요청해 국토안전관리원으로부터 입수한 ‘연도별 싱크홀 발생 현황’을 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총 867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발생 원인을 보면 상하수관 손상과 기타매설물 손상이 497건(57%), 굴착공사 부실과 다짐(되메우기) 불량, 상하수관 공사 부실, 기타매설공사 부실, 기타 등이 278건(43%)을 차지했다. 10건 중 4건 이상은자연적인 노후화가 아닌 부실공사 등으로 인한 인재(人災)였던 셈이다.특히 상하수관 손상이 작은 싱크홀을 발생시키는 반면, 부실공사로 인한 싱크홀은 규모가 큰 게 특징이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상하수관 노후화로 인한 누수는 싱크홀 깊이가 깊어야 1~2m 정도에 불과하다”며 “깊이가 깊은 대형 싱크홀의 경우 다른 지하공사 등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14년 석촌지하차도 인근에서 발생한 가로 1m, 세로 1.5m, 깊이 3m 가량의 싱크홀. 뉴시스 실제 2014년 석촌지하차도 인근에서 발생한 가로 1m, 세로 1.5m, 깊이 3m가량의 싱크홀의 경우, 지하철 9호선 터널 굴착 공사의 부실 공사·품질관리가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여기에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꺼짐)도 인근 지하철 9호선 공사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터널 전문가 하홍순 전 국민권익위원회 감사담당관은 “이번 명일동 싱크홀 사진을 보면 약한 지반을 단단하게 잡아주고 물을 차단하는 ‘그라우팅’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와 함께 터널 건설의 갈비뼈 역할을 하는 강지보 불량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서대문구 연희동에
다산신도시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