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컨소프 인근에서 브리티시 스틸 직원들과 만난 스타머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영국 의회가 12일(현지시간) 영국 내 마지막 제철 용광로 폐쇄를 발표한 중국 징예그룹의 브리티시 스틸에 대한 긴급 운영 통제권을 정부에 부여하는 법안을 의결했다.이 법안은 산업통상 장관이 공공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 중단되거나 중단 위기에 있는 철강 자산을 통제할 권한을 부여한다.장관은 제철에 필요한 원자재 주문, 근로자 급여 지급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법을 위반한 자는 최고 2년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이는 사실상 브리티시 스틸의 용광로 폐쇄를 차단하고 가동을 계속하기 위한 것이다.해당 법안은 이날 하원에 이어 상원을 통과했다. 찰스 3세 국왕이 승인하면 법은 자정에 발효될 예정이다.의회는 부활절 휴회 중이었으나 키어 스타머 총리가 전날 임시 의회를 소집해 법안 처리에 나섰다. 의회가 휴회 중 토요일에 임시 소집된 것은 1982년 4월 3일 아르헨티나의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 침공 때 이후로 처음이라고 AP 통신은 전했다.지난달 브리티시 스틸은 시장 환경의 어려움과 관세 부과, 환경 비용 증가를 이유로 오는 6월 영국 내 마지막으로 남은 용광로 2기와 제철 부문을 폐쇄하기로 하고 이를 노조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징예그룹은 브리티시 스틸로 매일 70만파운드(13억원) 손실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동안 징예그룹은 영국 정부와 전기로 전환 등 브리티시 스틸 구제책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며, 지역 사회와 노조를 중심으로 브리티시 스틸 국유화 요구가 나왔다.최근에는 브리티시 스틸이 고로에서 쓰일 원자재 주문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영국 정부의 대응이 빨라졌다.용광로를 폐쇄하면 수천 개 일자리가 사라질 뿐 아니라 영국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국내에 1차 제철 능력이 없는 유일한 국가가 된다. 건설, 철도, 방산업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조너선 레이놀즈 산업통상장관은 이날 의회에서 "철강은 영국 산업적 힘, 안보, 글로벌 강국으로서 정체성의 근간"이라며 "오늘의 입법이 영국의 제철 능력 유지를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이번 법안이 "정부로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국유화가 "테이블 위에 여전히 있다"며 "가능성 있는 선택지"라고 말했다. 스컨소프의 브리티시 스성장 전략 'H-Road' 발표…"에너지 중심 성장"2030년까지 에너지 매출 비중 21%까지 확대 현대건설이 원자력을 중심으로 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현대건설이 지난달 28일 개최한 'CEO 인베스터 데이'. /현대건설 [더팩트 | 공미나 기자] 현대건설이 에너지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하고 새로운 도약을 꿈꾼다. 원자력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도모해 건설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구상이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지난달 28일 상장 건설사 최초로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현대건설은 중장기 성장 전략인 'H-Road(로드)'를 발표하고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사업 확대 전략과 재무 목표 및 주주환원 정책을 제시했다.'H-로드'는 에너지 혁신을 주도하고, 기술 중심·고부가가치 사업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핵심 상품 및 본원적 경쟁력 고도화로 글로벌 건설명가 위상을 제고한다는 게 골자다.구체적으로 대형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소 생산플랜트, 전력망 분야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원전 연계 데이터센터 등의 새로운 패키지 상품을 제안하면서 생산·저장·운송·활용을 아우르는 에너지 산업 전반의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유력 업체와 함께 현지화 전략을 펼쳐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현대건설은 'H-Road'를 성공적으로 실행해 수주 규모를 현재 17.5조원에서 2030년 25조원으로 확대하겠다고 예고했다. 특히 에너지 분야 신규 수주를 7조원, 매출액을 5조1000억으로 목표로 잡아 매출 비중을 현재 3%에서 21%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현대건설의 중장기 성장 전략 'H-로드' 발표 이후 증권사들은 목표 주가를 상향했다. /현대건설 현대건설이 이처럼 에너지 사업에 공들이는 이유는 시장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세계경제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