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에 있어 실패는 결과가 아닌 과정이
창업에 있어 실패는 결과가 아닌 과정이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인이 성공하기까지 겪는 실패 경험은 약 2.8회. 3번은 실패해야 성공도 따라온다는 것이다. 국내에선 재창업이 여전히 어려운 숙제다.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 탓이다. 조선비즈는 실패를 딛고 일어선 창업가들의 이야기를 통해 ‘실패’의 가치를 조명한다. 창업가들은 실패하며 무엇을 배웠고 어떻게 재기에 성공했을까. [편집자 주]“실리콘밸리에서는 세 번째 창업자가 가장 성공 확률이 높다는 통계가 있어요. 실패를 경험한 창업자가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조선비즈 대회의실에 모인 유희숙 한국재도전중소기업협회장,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씨엔티테크 대표), 양동우 호서대 벤처대학원 교수 등 전문가 3인은 이렇게 한목소리로 말했다.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조선비즈 대회의실에서 만난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왼쪽부터), 유희숙 한국재도전중소기업협회장, 양동우 호서대 교수가 "실패를 경험한 창업자가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박성원 기자 이들은 한국의 금융 시스템과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사회적 시선, 제도적 허점 등이 재창업을 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간 주도의 재창업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015년부터 한국재도전중소기업협회를 이끌고 있는 유희숙 협회장은 과거 영화 제작자로 활동하며 회생과 파산을 겪고 재도전에 성공, 현재는 재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재기 상담과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재도전중소기업협회는 실패 원인별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고, 재도전 IR(투자자 대상 기업설명) 행사를 통해 투자 유치까지 돕는다.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 역시 ‘음성인식 기술’을 개발, 카이스트 석사 과정을 밟고 있던 중 학내 벤처 1호인 에스엘투(SL2)를 설립했다가 병역 문제로 해임된 아픈 경험이 있다. 현재는 이를 계기로 씨엔티테크 재창업에 성공했으며 투자 전문 액셀러레이터(AC)로도 활동하고 있다. 양동우 호서대 벤처대학원 교수는 한국창업협회장, 호서대 글로벌창업대학원장을 역임한 바 있는 ‘창업 전문가’다. 그래픽=정서희 ―한국에선 재창 김원준 경민대 실용음악과 교수는 4일 한국일보와 인터뷰에서 “국민들에게 희망을 줬던 노래 ‘쇼’처럼 학생들에게도 K팝 아티스트로서 꿈을 심어주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교수 제공 1990년대 '모두 잠든 후에' '너 없는 동안' '쇼'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인기를 누렸던 가수 김원준(52)씨는 요즘 '교수'라는 직함이 더 익숙하다. 방송생활 틈틈이 대학 강단에 서다 2013년 강동대(실용음악과)를 시작으로 대학 전임교수로 변신한 지도 벌써 13년째다. 원조 꽃미남 싱어송라이터로 불리던 그는 올해 3월부터 경민대 실용음악과(전임교수 겸 학과장)로 옮겨 계속 후학양성에 힘을 쏟는다. 4일 경기 의정부시 캠퍼스에서 만난 그는 “1996년 발표해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했던 노래 ‘쇼’처럼 학생들에게도 K팝 아티스트로서 꿈을 심어주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그가 언급한 대표곡 중 하나인 '쇼'는 "쇼 룰(rule)은 없는 거야. 내가 만들어가는 거야. 난 할 수 있을 거야" 등 희망적인 가사와 신나는 리듬으로 지금도 대학가 등에서 응원곡으로 울려 퍼진다. 한때 가요 프로그램 1위를 휩쓸며 천하를 호령했던 인기스타였지만, 새 학교로 옮겨 학과를 총괄하는 학과장까지 맡은 그는 “설레면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새학기에 그가 맡은 수업은 전문 음원 제작 프로그램(DAW)과 트랙 메이킹(반주부터 편곡까지 음악의 뼈대를 만드는 과정). 모두 전공 필수 교과목이다. 보컬·작곡·연주의 음악 콘텐츠 제작 등 전문 프로 뮤지션을 키우는 실용음악과에서 학생들 스스로 각종 디지털 장비와 기술 등을 활용해 원하는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길잡이 역할이라고 한다. 김 교수는 “대학원 석·박사 때 전공한 뮤직테크놀로지와 뉴미디어음악학 등 그간 배우고 활동하면서 익힌 지식과 경험을 후배 양성을 위해 모두 쏟아 붓겠다”고 말했다.13년 역사를 가진 경민대 실용음악과의 탈바꿈을 위한 새 출발도 예고했다. 김 교수는 “실용음악과에 맞는 멘토링 교육을 통해 각기 결이 다른 학생들이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K팝 아티스트로서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데 집중할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K팝 아티스트 양성을 위해 새로 영입한 권태은 음악감독(전 JYP엔터테인먼트 수석 프로듀서) 등 실력파 교수진과 함께 음악인의 꿈을 키우는 학생들의 다양한
창업에 있어 실패는 결과가 아닌 과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