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댓글
한독 사옥 전경/사진 제공=한독한독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국내 판권을 확보한 담도암 치료제가 유효성 입증에 성공했다. 임상 2·3상 톱라인에서 기존 치료 표준요법 대비 3배 이상의 객관적반응률(ORR)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향후 국내외에서 신약 승인을 받을 경우 한독은 담도암 치료제 바이오신약을 처음으로 확보하게 된다.이는 20년간 진행해 온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의 성과라는 평가다. 신약개발 후발주자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바이오텍과의 긴밀한 협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기존 치료요법 대비 3배 ORR 확인…신약 승인 가능성 높였다미국 바이오텍인 컴퍼스테라퓨틱스에 따르면 담도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이중항체 신약 CTX-009은 기존 치료 표준요법 대비 3배 이상의 객관적반응률(ORR)을 확인했다.'토베시미그'(ALB001)의 담도암 2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2·3상 연구(COMPANION-002) 톱라인(주요지표) 결과다. 이번 임상에선 토베시미그·파클릭탁셀 병용요법(111명)과 파클릭탁셀 단일요법(57명)을 효과를 비교했다.연구 결과 병용요법은 1건의 완전관해(CR)를 포함해 1차 평가지표인 ORR은 17.1%를 기록했다. 이는 파클리탁셀 단일요법(5.3%)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기존 담도암 2차 치료 표준요법인 '폴폭스'(FOLFOX) 3상에서 관찰된 ORR(4.9%)를 크게 넘어섰다.암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는 질병 진행률(Progressive Disease, PD)에서도 병용요법은 16.2%(18/111)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파클리탁셀 단독요법은 42.1%(24/57)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완전관해와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PR), 안정병변(Stable Disease, SD)을 포함한 임상적 이점 비율(Clinical Benefit Rate, CBR)은 61.3%(68/111)로 높게 나타났다.담도암은 1차 치료제 대비 2차 치료제의 옵션이 제한적인 암종이다. 1차 치료제로는 PD-L1 약물과 화학항암제의 병용요법이 쓰이고 있다.담도암은 췌장암 다음으로 치료가 까다로운 암종이다. 5년 내 생존율이 29.8%에 불과하다. 조기 진단이 어렵고 수한독 사옥 전경/사진 제공=한독한독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국내 판권을 확보한 담도암 치료제가 유효성 입증에 성공했다. 임상 2·3상 톱라인에서 기존 치료 표준요법 대비 3배 이상의 객관적반응률(ORR)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향후 국내외에서 신약 승인을 받을 경우 한독은 담도암 치료제 바이오신약을 처음으로 확보하게 된다.이는 20년간 진행해 온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의 성과라는 평가다. 신약개발 후발주자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바이오텍과의 긴밀한 협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기존 치료요법 대비 3배 ORR 확인…신약 승인 가능성 높였다미국 바이오텍인 컴퍼스테라퓨틱스에 따르면 담도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이중항체 신약 CTX-009은 기존 치료 표준요법 대비 3배 이상의 객관적반응률(ORR)을 확인했다.'토베시미그'(ALB001)의 담도암 2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2·3상 연구(COMPANION-002) 톱라인(주요지표) 결과다. 이번 임상에선 토베시미그·파클릭탁셀 병용요법(111명)과 파클릭탁셀 단일요법(57명)을 효과를 비교했다.연구 결과 병용요법은 1건의 완전관해(CR)를 포함해 1차 평가지표인 ORR은 17.1%를 기록했다. 이는 파클리탁셀 단일요법(5.3%)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기존 담도암 2차 치료 표준요법인 '폴폭스'(FOLFOX) 3상에서 관찰된 ORR(4.9%)를 크게 넘어섰다.암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는 질병 진행률(Progressive Disease, PD)에서도 병용요법은 16.2%(18/111)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파클리탁셀 단독요법은 42.1%(24/57)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완전관해와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PR), 안정병변(Stable Disease, SD)을 포함한 임상적 이점 비율(Clinical Benefit Rate, CBR)은 61.3%(68/111)로 높게 나타났다.담도암은 1차 치료제 대비 2차 치료제의 옵션이 제한적인 암종이다. 1차 치료제로는 PD-L1 약물과 화학항암제의 병용요법이 쓰이고 있다.담도암은 췌장암 다음으로 치료가 까다로운 암종이다. 5년 내 생존율이 29.8%에 불과하다. 조기 진단이 어렵고 수술 후 재발했을 때 쓸 수 있는 치료제가 많지 않아서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세계 담도암 치료제 시장은 지난해 기준 35억8000만달러 규모다.이 같은 결과는 국내 권리를 확보한 한독의 임상 결과에서도 유사하다. 한독은 앞서 'ASCO GI 2023'에서 CT
디시인사이드댓글